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재산세 납부기간과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

랜드뷰 2025. 7. 15.

7월과 9월, 매년 어김없이 찾아오는 재산세 납부 시즌이 돌아왔습니다. 납부 기한을 놓치면 3% 가산금이 부과되는 만큼, 정확한 일정과 유의사항을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재산세 납부기간, 대상, 납부 방법, 주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
핵심요약

  • 2025년 재산세 납부기간은 7월 16일~31일(1차), 9월 16일~30일(2차)입니다.
  • 납부 기준일은 6월 1일이며, 이 날 소유자가 해당 연도 재산세 납세의무자가 됩니다.
  • 기한을 넘기면 3% 가산금이 즉시 부과되니, 반드시 기간 내 납부해야 합니다.

1. 재산세란?

재산세는 주택, 건축물, 토지, 선박, 항공기 등 일정 재산을 보유한 사람이 매년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하는 지방세입니다. 6월 1일 현재 소유자에게 부과되며, 보유기간이 아닌 기준일 소유 여부로 납세의무가 결정됩니다.

  • 과세 대상: 주택, 건축물, 토지, 선박, 항공기 등
  • 납세의무자: 6월 1일 기준 소유자
  • 과세표준: 공시가격, 공정시장가액비율 등에 따라 산정
“6월 1일에 소유하고 있다면, 실제 보유 기간과 상관없이 그 해 재산세를 납부해야 합니다.”

2. 2025년 재산세 납부기간

납부기간 납부대상
7월 16일 ~ 7월 31일 주택분(1/2), 건축물, 선박, 항공기
9월 16일 ~ 9월 30일 주택분(1/2), 토지
  • 주택 재산세는 7월과 9월 두 차례에 나눠 50%씩 분할 납부합니다.
  • 단, 세액이 20만원 이하라면 7월에 일괄 납부됩니다.
“납부 기한을 넘기면 3% 가산금이 부과되고, 장기 체납 시 재산 압류 등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”

3. 납부 방법과 주의사항

  • 고지서에 기재된 납부번호로 은행, 인터넷뱅킹, 위택스(지방세 납부 사이트), 지로, 모바일 앱 등에서 납부할 수 있습니다.
  • 카드 무이자 할부, 간편결제 등 다양한 납부 방법 활용 가능
  • 기한 내 미납 시 3% 가산금, 이후 매월 0.66% 추가 가산(본세 45만원 이상)
  • 재산세가 250만원을 초과하면 분납 신청 가능
“카드 할부, 간편결제 등 다양한 납부 방법을 활용해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”

4. 자주 묻는 질문

Q. 6월 1일 이후 부동산을 매입했는데, 올해 재산세를 내야 하나요?

아니요. 6월 1일 기준 소유자가 그 해 재산세 납세의무자입니다. 6월 2일 이후 매입했다면 내년부터 납부 대상이 됩니다.

Q. 재산세를 분납할 수 있나요?

세액이 25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분납 신청이 가능합니다. 관할 시·군·구청 세무과에 문의하세요.

Q. 납부 기한을 놓치면 어떻게 되나요?

기한이 지난 즉시 3% 가산금이 부과되고, 이후 매월 0.66%씩 추가 가산금이 붙습니다. 장기 체납 시 재산 압류 등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Q. 공동명의 부동산의 경우 누가 납부하나요?

공동명의자 각각에게 고지서가 발송되며, 각자 지분에 따라 납부합니다.

5. 납부 체크리스트

  • 고지서 수령 후 납부 기간(7/16~7/31, 9/16~9/30) 확인
  • 위택스, 인터넷뱅킹, 은행 등에서 편리하게 납부
  • 카드 무이자 할부, 간편결제 활용
  • 납부 후 영수증 보관

마무리 및 참고사항

2025년 재산세는 7월과 9월 두 차례에 나눠 납부해야 하며, 기한을 넘기면 불필요한 가산금이 부과됩니다. 고지서와 납부 기간을 꼭 확인하시고, 다양한 납부 방법을 활용해 편리하게 재산세를 납부하시기 바랍니다.

최신 재산세 안내와 납부 방법은 위택스(https://www.wetax.go.kr) 및 각 시·군·구청 세무과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댓글

💲 추천 글